3월, 2023의 게시물 표시

<단편소설 읽기> 버려진다는 것의 의미 - 박서련, '미키마우스 클럽'을 읽고

  누구에게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버려진다는 것은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다. 특히 어릴 적 부부모에게 버림받아 고아원에서 자란 아이들은 그 상처에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한번 타인의 관심을 받게 되면 놓치지 않으려고 관심을 받으려 노력하거나 집착하게 된다.  역으로는 버려지지 않는 방법으로 어릴 적부터 그들의 꿈은 가족을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선택한 그들만의 가족은 조급한 상태에서 빠르게 이루려다보니 어설픈 가족이 이뤄지고 현실 생활하면서 겪는 여러가지 일로 말미암아 쉽게 가족이 해체되면서 또다른 깊은 상처로 남기도 한다.  여기 바로 박서련의 '미키마우스클럽'이란 2014년 실천문학 신문춘예 당선작이 그 모습으로 놓여있다.  고아원에서 생활하다가 미국인 양부모를 만나 미국에서 자란 여성으로 성장하면서 성공을 꿈꿨지만  '아이'를 낳으면서 자신의 성공을 미룰 수밖에 없었고 심지어 함께 자살하고자 했으나 실패한다. 하지만 그 아이는 열 살 이후 한국에 와서 아이돌로 성공하면서 그 여성의 어릴 적 꿈을 아이를 통해 이뤄냈다고 행복해 한다. 하지만 자신과 닮아서인지 그 아이는 다란한 가족을 만드는 것을 꿈꿨는지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임신을 하게 되고 아이돌 그룹이 해체되기에 이른다. 그 해체 과정 인터뷰에서  아이의 임신사실과 미성년이라는 아는 한 기자의 폭로성 질문에 화가난 여성은 마이크를 던져 그 기자에게 상해를 입히고 경찰서에 입건된다.  다음날 기자의 폭로 기자회견이 있기 전, 그 아이가 먼저 지자회견을 열어 대중의 의심스런 시선을 연민의 시선으로 돌려 놓을 수 있게 만듦으로써 그 여성이 우려했던 그녀와 아이의 파멸은 지연된다.  소설은 일단 그 두 모녀의 진실이 대중의 연민에 의지하여 덮혀지는 것으로 결말지어진다.  하지만 이 소설은 두 모녀가 서로 닮았다는 것을 명확하게 표현한다. 그 여성은 버려진다는 것의 두려움과 성공하고자 하는 열망, 그리고 가족을 만...

어느 봄날 휴일에

 어느 봄날 일요일에 이런 생각을 했어. 무엇인가를 만들고 싶다는....  그러면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하나 둘 생각해 봤지. 그런데 할 수 있는 것이 너무 없는거야. 내 방 가득히 쌓인 수천 권이 넘는 책도 있고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공부도 많이 했는데도 불구하고 말야. 물론 나이가 있으니 경험도 많다고 할 수 있지.  그런데도 아무 것도 할 수 없는게 없다? 왜 그런지 원인에 대해 생각을 해 봤지.  아! 우리 속담에도 있잖아. "꿰어야 보배"라는 것 말야. 내 주위에 흩어진 것들이 많은데, 그것들을 정리를 하지 않았던 것야. 바쁘다는 핑계로 말이지. 그러면서 대학생들에게 책을 읽고 서평을 써 블로그에 주기적으로 올리면 후에 가면 삶의 길을 가르쳐 준다고 가르쳤었는데, 그 가르침이 공허한 외침이었다는 것이 부끄러워졌어.  그래서 시작하기로 했어! 주기적으로 서적을 읽고 내 생각을 정리하거나 일상의 자질구레한 경험을 써 보거나 내 관심있는 일에 관해 나름의 의견의 내기로 말야. 그리고 예전부터 생각만 가득했지만 실천하지 못한 소설도 써 보려 해. 자 그럼 지금부터 미미하게 시작하겠지만 나만의 의미있는 성을  만들어 볼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