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이혼율이 아시아에서 가장 높다"는 주장이 퍼지고 있다. 이에 대한 진위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기타 국제 통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이혼율이 아시아 최고 수준은 아니지만, 높은 편에 속하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한국의 이혼율은 2003년을 정점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기사에서는 한국의 이혼율 현황과 국제적 비교, 그리고 이혼율 산정 방식의 차이점 등을 분석하여 팩트를 확인하고자 한다.



조이혼율 개념과 한국의 이혼율 비교

 이혼율을 산출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은 '조이혼율'이다. 조이혼율이란 해당 연도 인구 1,000명당 발생한 이혼 건수를 의미하며, 국가 간 비교 시 가장 표준적으로 활용되는 지표다. 이 지표는 특정 연도의 이혼 건수를 전체 인구수로 나누어 산출되므로, 인구 규모 차이를 고려한 비교가 가능하다.

 OECD가 발표한 '한눈에 보는 사회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조이혼율은 1.8건으로 OECD 평균(1.8)과 동일하다. 36개국 중 공동 15위로 OECD 내에서는 중간 수준이다. 그러나 아시아 국가만 놓고 보면 터키(2.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일본(1.6)과 이스라엘(1.7)은 한국보다 낮은 이혼율을 보였다.

 OECD 회원국이 아닌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까지 포함한 통계에서는 한국의 조이혼율이 19개국 중 5위로, 조지아(3.8), 카자흐스탄(2.3), 호주(2.2), 중국(2.0)보다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이혼율이 과거에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았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결혼 및 이혼 건수 감소로 인해 순위 변동이 있었다.

한국 이혼율의 변화 추이

 한국의 이혼율은 20033.4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조이혼율은 1.8건으로 감소했다. 2020년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 이혼 연령도 남성 49.9, 여성 46.6세로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결혼 지속 기간이 늘어나고, 고연령층 이혼이 증가한 것을 시사한다.



이혼율 산정 방식의 차이

 이혼율을 산출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이혼율은 연도별 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를 의미한다. 그러나 과거 일부 보고서에서는 결혼 건수 대비 이혼 건수를 계산하여 한국의 이혼율이 47.4%라는 수치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방식은 특정 연도의 결혼 및 이혼 건수를 비교하는 것으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통계청은 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를 기준으로 조이혼율을 발표하며, 2023년 현재 유배우(배우자가 있는) 인구 대비 이혼율은 3.7건으로 조이혼율(1.8)보다 높게 나타난다. 국가 간 비교를 위해서는 일관된 방식의 통계가 필요하며, 단순한 결혼 대비 이혼 비율은 정확한 실태를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한국의 이혼율이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에 속한다. OECD 소속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터키에 이어 2위이며,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로 보면 상위권에 해당한다. 다만, 한국의 이혼율은 2003년을 정점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또한, 이혼율 산정 방식에 따라 수치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이혼율이 아시아 최고"라는 주장은 부분적으로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보다 정확한 비교와 분석이 필요하다.